# 보도섀퍼의 돈
p33
‘바보 멍청이들의 공통점은 그들이 하나같이 희망과 기다림 속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라는 옛말은 그래서 틀린 말이 아니다.
> 희망과 기다림속에서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 내가 얻어내려고 추구하고 행동해야한다.
p39
짧은 시간 내에 부자가 된 사람들한테는 어떤 비결이 있었을까? (중략) 그들은 평생 돈버는 기계로 살기 보다 돈버는 기계를 갖고자 했던 사람들이다.
> 노동을 더 많이 하면 소득이 더 늘어나긴 하겠지. 하지만 자본주의시대에서 현명하게 사는 법은, 노동 소득이 아닌 자본소득을 얻는 방법을 배우는 것.
P40
“먼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생각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시오. 그 다음에는 그것으로 어떻게 돈은 벌 수 있을지 생각해보시오. 가장 좋은 방법은 이 질문을 매일매일 자신에게 던지고, 하루하루 더 나은 대답을 찾아가는 것이오.”
> 나는 공부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부를 잘하는게 좋다하니 공부를 잘해야겠다 생각했다. 일도 마찬가지로, 돈을 많이 벌어다 주는 일을 알려주면, 좋아하진 않아도 개중에 나은것을 선택하겠다고 생각했다. 항상 최적의 답, 가장 빠른길만 찾다보니 아직도 내가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 10년째 찾으려 해봐도 결국 다시 최적의 해를 찾게 되면서 경험의 시야가 좁아졌다. 어느 누구든 자기 일을 사랑하며 시간을 갈아넣는사람이 너무 멋지다. 또 좋아하는 악기가 있거나 좋아하는 운동이 있는 사람도 참 참 부럽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느냐고 시간이 너무 많이흘렀는데, 이제는 그냥 겨우 잘하는 것만이라도 더 잘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p42
당신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든지, 아니면 다른 사람에 의하여 설계를 당하든지 둘 중 하나이다.
p43
꿈, 목표, 가치, 전략 - 이 네 가지 기둥 위에 기본 행동양식이 다져지고, 그 바탕위에 당신은 자신의 부를 차곡차곡 쌓아갈 수 있다.
p64
문제를 피해서는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없다. 남보다 돈을 더 많이 갖고 싶은 사람은 그만큼 더 많은 문제들과 싸워야 한다.
> 더 많은 문제들과 싸워야 한다! 작은 문제들에 휘둘리지 말자!
p66
결정의 시점에선 ‘할 것인지 말 것인지' 먼저 물어라. 거기에는 ‘왜'라는 질문도 포함되어 있다. 왜 그것을 해야 하는가?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는가? 이 시점에서 ‘어떻게'는 중요하지 않다.
P67
하지만 일단 결정을 한 다음에는 ‘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 대한 미련을 버려야 한다. 조금 문제가 생겼다고 ‘내가 결정을 제대로 한 걸까, 차라리 다른 쪽으로 가야 하지 않았을까’라는 방정을 떨어서는 안된다. 그렇게 되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생각나지 않고, 맨 처음 질문인 ‘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 아주 좋은 방법이다! 문제가 생길때면 ‘잘못 선택했나’ 싶고, 하다가 잘 안되면 ‘다른 것을 했어야 했나’생각하며 시간을 많이 보냈는데, 정말 나에게 적확한 솔루션인듯.
p138
충고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조심스럽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p139
충고를 받을 때는 기본 원칙이 있다. 당신이 도달하고 싶은 곳에 이미 도달해 있는 사람을 제외한 다른 사람의 충고를 절대로 받아들이지 말라는 것이다.
p154
자신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바꾸는 사람은 항상 ‘반드시 해야만 한다'는 굳은 마음을 가져야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내는 자!
p157
충고는 자신의 주변에서 구하지 말고 그 분야의 가장 뛰어난 사람한테서 구하라.
p172
당신은 채무자일 뿐 패배자는 아니란 사실을 명심해라. 자신의 정체성을 금전적 능력에 비추어 확정하지 말아라. 누가 뭐라고 해도 당신은 인간이지 결코 지폐가 아니다. 당신은 좋은 점을 많이 지닌 소중한 한 인간인 것이다.
> 대치동에 사는 아이들은 돈이 별로 없는 집 아이들을 굉장히 무시한다고 들었다. 카더라가 아니고 친구의 경험담이다. 학벌과 재력이 좋지 못하더라도 멋진 사람일 수 있다구! 그치만 둘 다 갖고싶은건 맞지.
p181
절제는 힘이다. 그리고 절제는 우리 안에 담긴 무한한 능력을 밖으로 끌어낸다. 절제가 없으면 어떤 재능이든 쓸모 없이 허비되고 만다.
P188
문제가 사라지기를 바라지 말고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바라자. 부담은 좋은 것이다. 부담은 당신의 잠재력이 허비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 일을 믿고 맡길수있는 사람들, 내가 우러러 보는 사람들은 주로 문제를 끝까지 파고들어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해결까지 해내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이렇게 경험을 쌓을 동안, 나는 “이정도 알아보면 됐어”하고 적당히 마무리하여 경험이 많이 늘지 못했던 것 같다. 매 순간 최선을 다할 것. 최선을 다하고, 까이고, 또 최선을 다하고, 성장하다 보면 최고가 되어있지 않을까?
p189
프로는 최상의 컨디션이 아닐 때에도 최상의 일을 해낼 수 있는 사람이다.
> 진짜 맞는 말... 사실 아마추어는 본인의 컨디션이 어떤지도 모름..
p194
상대방이 당신한테서 기대하는 것보다 항상 더 많은 것을 제공하라. 사람들이 놀랄 정도로 기대 이상의 일을 하라. 8시간에 대한 대가를 받으면 10시간 일을 하는 것이다.
> 아악. 진짜 내가 하고 싶은 것. 하지만 하지 않는 것. 10시간 일하고 싶은데, 8시간도 제대로 일하지 않는 나ㅠ.ㅜ 일 넘나 잘하고 싶은데, 암것도 안하고 쉬고싶은 나, 자고싶은 나, 월부하고싶은 나.. 어쩜좋니 너를.
p196
대신 모든 일을 아주 특이하게 잘 하라. 모든 일을 남과 다르게 하라. 모든 일을 눈에 띄게 하라. 오직 눈에 띄는 일만이 다른 사람의 인상에 남는다.
(중략) 없어서는 안될 사람이 돼라.
p204
당신의 업무능력은 몇 점인가?
> 자질 7/10 x 에너지 7/10 x 인지도 40/100 x 자기가치 9/10 x 아이디어 7/10 = 123_480점
> 무슨 의미야..
p210
자기가치에는 자신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능력과 기술도 포함된다.
> 나도 내 가치를 높이고 싶다.. 나는 아직 본업이 관리영역에 속해 있지 않는데, 투자자로 공부하는 것을 잠시 중단해야하는걸까?ㅠㅠ
p211
당신은 자신의 능력을 분산시켜서는 안된다. (...)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좋은 기회가 있으면 이것을 놓쳐서도 안된다. 이 모순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 간단하다. 목표하는 일정 소득에 도달할 때까지 당신은 한 가지 일에만 매달려야 한다. 그냥 차분히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하라.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일을 찾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 조급함과 불안함으로 머릿속이 복잡할땐 잘 해내고 싶은 일을 글로 적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제일 중요한 것 부터 차분히 하면 된다. 조급하다고, 불안하다고 도움되는게 하나 없더라.
p213
이미 당신은 성공이 능력보다는 신념과 태도의 문제란 사실을 알고있다.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존중하도록 노력하라. 그리고 성공일지를 기록하라.
p214
그리고 그렇게 해서 생긴 시간을 돈 되는 일에 사용해라.
p215
중단하지 말아라. 당신이 이자만으로 살 수 있는 충분한 돈을 모을때까지 수입을 늘려나가는 것을 중단하지 말아라. 물론 휴식을 취할 때도 있고, 또 그래야 한다. 그래서 나도 내가 세운 중간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자신에게 보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나는 6일동안 일하고 하루는 꼭 쉰다.
> 어? 보상체계가 나랑 좀 다른데?
p217
사람들이 당신한테서 기대하는 것보다 항상 더 많은 것을 제공하라. 사람들이 놀랄 정도로 기대 이상의 일을 하라. 모든 일을 뛰어나게 하라.
p226
“난 저렇게는 못 살아. 저렇게 살 수도 없거니와, 살고 싶지도 않아.”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말이 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싫어하는 일도 기꺼이 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p233
내 인생의 나머지를 보낼 곳은 미래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미래에 가능한 한 확실히 대비하고자 한다. 그것이 저축을 하는 이유이다.
> 월부하다 현타오고 눈물흘리면서 또 하루하루 이렇게 살고있는 나에게 친구가 진심으로 걱정하며 말했다. “이투, 너무 미래를 위해 사는거 아니야? 너의 현재도 너무나도 소중하고, 지금은 다신 돌아오지 않을 20대잖아!” 나 너무 미래에 살고있나? 그렇지만 월부외에 현재에 하고 있는 것은 회사일뿐이다. 회사일도 현재를 살고 있는 것은 아니고. 친구를 만나거나 가족을 만나는 것, 핸드폰을 보고 tv를 보는 것도 크게 의미있게 현재를 사는 것은 아니고. 나에게 가장 의미있는 현재는 여행을 가서 온몸으로 느끼고 경험할때이니, 지금은 자기계발이 충실하는걸로.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씽]재독, 하루 점검 체크리스트 (0) | 2022.02.26 |
---|---|
[본깨적]- one book, one action (1B1A) (0) | 2022.02.23 |
웰씽킹/켈리최 - 3개월 마다 읽을 것 (0) | 2021.12.31 |
돈의심리학/모건하우절 - 나의 첫 독서모임 (0) | 2021.12.07 |
[부자의 언어] 깊이있는 대답 (1) | 2021.11.26 |
댓글